본문 바로가기

세금

(5)
[증여세] 5000만원 이하 증여의 기한 후 신고, 왜 필요할까? 안녕하세요. "오늘으 재테크"입니다 자녀를 키우다 보면 자녀 교육비라던지 자녀의 생활을 위해 자녀에게 용돈을 준다던지 등을 통해 증여라는 과정이 이루어지게 되는데요. 이러한 증여들은 이전에 설명했던 내용과 같이 비과세 내용으로 들어가게 됩니다 하지만, 비과세 및 신고의 의무가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자녀에게 돈을 증여를 하였는데 신고를 해야할 의무를 이후에 알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만약 이러한 비용이 5000만원 이하로 비과세되는 구간이어도 기한 후 신고는 가산세가 있을까요? 1. 납부할 증여세가 없으면 신고하지 않아도 될까? 일상생활을 하며 증여가 일어났음에도 불구하고 증여세를 납부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는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로, 증여세 자체가 비과세가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에 관한 경우에는 아래의..
[증여세] 자녀 학자금, 주거비도 증여세 부과대상인가요? 안녕하세요. "오늘으 재테크"입니다 일반적으로 부부가 아이를 낳고 아이를 키우기 위해서는 매우 많은 돈이 필요한데요 부부가 아이에게 돈을 증여하기 위해서는 정부에서는 증여세라는 것을 부과하라고 요구합니다 하지만, 부부가 아이를 키우는 평균 양육비는 현재 약 3억 6500만원이라고 합니다 만약 이러한 돈에 모두 증여세를 부과하게 되면, 부부는 필연적으로 평균 4000만원 이상의 증여세를 부과하게 되는데요 이러한 증여세 부과는 증여세를 부과하는 정부의 의도와는 틀어지게 됩니다 오늘은 자녀를 키우는데 드는 학자금, 주거비도 증여세 부과대상인지에 대해 알아보아요 1. 증여세 비과세 증여세는 증여세가 부과되어야 하지만 정부의 의도와 벗어나는 행위들에 대해 증여세를 비과세하고 있습니다. 증여세를 비과세에 대한 내용..
원천징수세와 연말 정산, 대체 무엇일까? 안녕하세요. "오늘으 재테크"입니다 저희가 근로를 하고 받는 소득에는 항상 원천징수세라고 하는 세금이 부과됩니다. 오늘은 이러한 원천징수세가 무엇인지 알아보고 왜 원천징수세를 정부에서 납부하는지에 대해 알아보아요! 1. 이자 소득의 경우 우리가 은행에 돈을 예금 혹은 적금을 통해 보관하면 은행에서는 이율에 따라 우리에게 이자를 주게 됩니다 정부는 이러한 이자 소득에 대해 예금자에게 세금을 부과하게 됩니다 이자 소득에 대한 세금은 국세 14%, 지방세 1.4%로 총 15.4%의 세금을 부과하게 됩니다. 즉, 1,000,000원의 이자 소득을 얻게 되었다면 총 15.4만원을 세금으로 납세하게 됩니다. 하지만 정부 입장에서 이러한 세금을 모든 예금자에게 일일히 부과받기에는 행정력의 낭비가 크기 때문에 정부는 ..
[증여세] 증여세 기한 후 신고에 대해 알아보자! 안녕하세요. "오늘으 재테크"입니다 이전에 증여세에 대해 알아봤었는데요! 이번에는 이전에 신고하지 못한 증여세를 기한 후 신고하면 어떤 일들이 생기는지에 대해 알아보아요 증여라는 이슈가 우리 삶에서 빈번하게 일어나기 때문에 미리 잘 알아놓고 기한 후 신고를 통해 세금 폭탄을 맞는 일이 생기지 않도록 잘 공부해보아요 1. 증여세 신고기한 증여세 신고는 증여가 일어난 후 언제까지 신고하여야 할까요? 증여세 신고기한은 증여일이 속한 달의 말일을 기준으로 3개월 이내까지 신고해야 합니다. 즉, 증여가 이루어졌을 때의 시기를 잘 기억해두고 신고를 잊기 않고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하지만 불가피하게 이러한 신고 기한을 놓쳐버릴 수가 있는데요! 이런 경우에는 증여세 기한 후 신고를 진행해야 합니다 2. 증여세 신고는 ..
[증여세] 신혼부부, 3억원까지 증여세 0원? 안녕하세요. "오늘으 재테크"입니다. 오늘은 "신혼부부의 증여세 개정안"에 대해 소개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증여세란? 증여세는 부모 혹은 조부모에게서 자녀가 돈을 받는 모든 말그대로 '증여'에 부과하는 세금을 의미합니다 현재까지는 부모 혹은 조부모에게 증여를 받을 때 10년 단위로 최대 5000만원까지 세금을 부과하지 않았습니다. 그 이후의 증여세 세율은 아래와 같았습니다 과세표준 세율 누진공제 1억원 이하 10% - 1억원 초과 5억원 이하 20% 1천만원 5억원 초과 10억원 이하 30% 6천만원 10억원 초과 30억원 이하 40% 1억6천만원 30억원 초과 50% 4억6천만원 5천만원을 초과하면 10%의 세율을 부과하는 등 기존 증여세의 과세표준구간이 매우 낮다고 생각이 되는데요 결혼 전에 부..